육군 수도방위사령부가 국회 비상계엄 해제 의결 후 서울 시내로 즉각 투입 가능한 52·56사단의 병력 규모를 조사해 계엄사령부에 보고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국회 의결 후 계엄 해제까지 약 3시간30분 걸렸는데 군 수뇌부가 추가 계엄 시도를 위해 가용 병력 규모를 파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당시 계엄 해제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 이유와 군 부대 운용 상황 등을 면밀히 살펴보는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수방사는 지난달 4일 오전 2시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로부터 예하 부대 출동 가능 인원 파악 지시를 받았다. 앞서 오전 1시2분쯤 국회가 계엄해제 요구안을 가결한 지 약 1시간 지난 시점이었다. 수방사 예하 52사단과 56사단은 각각 가용 가능 병력을 조사해 수방사 상황실에 보고했다. 수방사는 이를 계엄사령부 상황실로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위수 임무 지역으로 곧장 투입할 수 있는 인원 조사와 보고가 이뤄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 같은 지시와 보고가 이뤄진 지 2시간여 지난 오전 4시27분쯤 계엄 해제를 선포했다.
52사단과 56사단은 각각 한강 이남, 이북을 관할로 한다. 두 사단은 최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부승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비상계엄 관련, 사단의 병력 증원 계획은 없었다”며 “계엄 선포 직후 지휘관과 주요 간부만 소집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즉각 가용 가능한 병력 규모 파악 지시가 있었고, 계엄사령부로 보고된 점을 고려할 때 군 수뇌부가 추가로 병력을 투입하려던 것은 아닌지 규명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그간 윤 대통령이 국회 의결 후에도 추가 계엄 선포를 염두에 뒀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해왔다. 검찰 수사 결과 윤 대통령은 국회 의결 후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에게 전화해 “해제됐다 하더라도 내가 두 번, 세 번 계엄령 선포하면 되는 거니까 계속 진행해”라고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경민 수방사 작전과장(중령)은 지난 14일 국회에서 열린 내란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출동 가용 인원을 파악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56사단은 수방사에 병력 규모를 보고한 뒤 서울 시내 CCTV를 집중적으로 조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엄 다음 날인 지난달 4일 오전 2시39분부터 오전 2시52분까지 용산, 서초, 종로 일대 CCTV를 32차례 살펴봤다. 서초 CCTV는 남태령 고개에 있는 수방사에서 국회 의사당 방향으로 병력이 이동하는 과천대로를 비추고 있다. 용산 CCTV의 경우 대통령실과 국방부 조사본부 일대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2·56사단은 계엄 선포 뒤 사단장이 법무참모를 호출해 계엄 상황에 대한 법리적 검토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수방사가 출동 병력 규모를 파악한 이유와 보고 경위도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 관계자는 “국회에서 계엄 해제안이 의결된 뒤 실제 해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는데 그 과정도 들여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송태화 기자 alv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