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설 연휴를 앞두고 전방위 정책 발굴을 위해 당내 상설·비상설특별위원회를 대폭 가동한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공약화 가능한 의제를 만들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유은혜·최기영 등 전 문재인정부 장관급 인사들도 특위에 가세한다.
22일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14일 출범식을 가진 민주당 교육특위는 문재인정부 당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맡은 유은혜 전 의원을 고문으로 초빙했다. 그는 2018년부터 3년 7개월여 재임한 부처 최장수 장관이다.
안민석·강민정·유기홍 전 의원도 고문단에 합류했다. 백승아 교육특위 위원장은 “현장 목소리를 많이 듣고자 한다. 교원·공무직·학부모·학생 등과 정례적으로 만나 말씀을 듣고 정책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자 출신 황정아 의원이 위원장을 맡은 과학기술혁신특위에도 전 장관들이 합류한다. 김대중정부 환경부 장관을 지낸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명예회장, 반도체 전문가로 문재인정부에서 입각한 최기영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고문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특위는 오는 31일 출범한다.
이미 출범한 다른 특위들도 본격 활동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2월 시동을 건 보건의료특위에 이어 기후위기대응환경특위, 보육특위 등이 최근 잇따라 발진했다. 김태년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경제안보특위도 출범식을 가졌다.
비상설특위 활동도 속도를 내고 있다. 민생경제회복단은 소아 진료대란을 주제로 이날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봉급생활자를 위한 입법을 추진하겠다며 설치한 월급방위대 역시 이날 양대노총 산하 배달 관련 노동조합과 정책협약식을 맺기로 했다.
민주당의 이런 움직임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본격화하면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자 이를 대비한 행보로 해석된다. 헌법재판소에서 파면이 확정되면 60일 이내에 차기 대통령을 선출해야 하는 만큼 정책 준비를 미룰 수 없다는 것이다. 과학기술혁신특위 관계자는 “당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비전과 로드맵을 만들어나가게 될 것”이라며 “추후 공약화도 진행하게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민주당은 문재인정부 등 전 정부 주요 인사들 합류로 범진보 진영 단일대오도 부각한다는 계획이다. 이재명 대표 2기 체제에서 통합·민생을 강조해온 지도부 기조의 연속선상이라는 평가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