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협회장 선거, 이틀 차이로 선거인 배제… 축구협회장 선거는 문제 없나

입력 2025-01-21 17:30
배드민턴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김동문 원광대 스포츠과학부 교수가 20일 서울 송파구 대한체육회 본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대한배드민턴협회장 선거가 파행 끝에 미뤄지면서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했다. 선거 일정 변경으로 임기가 만료돼 선거권을 잃은 사례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선거가 연기된 대한축구협회장 선거에서도 같은 문제가 불거질 것으로 예상된다.

배드민턴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김동문 후보는 21일 국민일보에 “선거 일정이 늦춰지면서 임기 만료로 기존 선거인단에서 빠지게 된 인원이 5명이나 된다”며 “협회가 불투명하고 불공정하게 회장 선거를 진행하고 있다는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선거인단이 줄어들면 특정 후보에게 유리한 상황이 생길 수 있어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선거 일정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배드민턴협회장 선거를 둘러싼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앞서 16일로 예정됐던 배드민턴협회장 선거는 기존 선거운영위원회에 정당 활동 등 자격이 없는 위원들이 일부 참여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파행을 맞았다. 새로 꾸려진 선거운영위는 선거 일정을 23일로 늦췄고, ‘사회적 물의’를 이유로 입후보가 막혔던 김택규 현 회장도 다시 출마 자격을 얻었다.

문제는 일주일 사이에 임기가 끝나 선거인단 자격을 상실한 사람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배드민턴협회 회장선거 규정 7조 3항 2호에 따르면, 선거인에 포함된 대의원들은 재임하고 있어야 한다. 대의원 A씨는 “18일에 임원 임기가 종료됐는데, 이틀 차이로 선거권을 잃게 돼 부당하다”며 “배드민턴협회에 이의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김 후보도 전날 이 문제를 비롯해 이번 선거의 불공정성을 지적하는 내용증명을 배드민턴협회에 전달했다. 김 후보는 “규정과 별개로 이번 선거는 협회의 귀책 사유로 연기됐다는 점이 고려돼야 한다”며 “기존 선거일을 기준으로 한 선거인단의 선거권도 모두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배드민턴협회 측은 이들의 선거권 보장이 규정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협회 선거운영위의 귀책 사유를 이유로 예외를 허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원래 180명이었던 선거인단의 규모는 상당히 줄어들 예정이다. 대의원뿐 아니라 시·군·구 협회 추첨으로 뽑힌 임원들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축구협회장 선거에서도 불거질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선거인단에 포함된 34명의 대의원(시·도협회장 17명, K리그1 대표이사 12명, 전국연맹 회장 5명)의 임기 만료 여부에 따라 선거인단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축구협회 관계자는 “아직 새로운 선거운영위원회가 꾸려지지 않아 선거인단 변동 사항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며 “관련해 민원이 발생하면 규정에 따라 처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