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국내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동해안 수소경제 산업벨트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먼저 원전을 활용한 저렴한 수소 공급 생태계를 구축하고 거미줄 같은 수소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수소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프로젝트’ 연구용역을 시행한다.
이 용역은 울진 원자력수소 국가산단에서 생산된 청정수소를 대구·경북 전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소 배관망 구축 기본계획 수립과 수소 배관 분야 전후방 기업육성 및 사업모델 발굴에 관한 것이다.
울진군도 지난해 산업부의 예비 수소 특화단지 사전 기획 공모과제에 선정돼 ‘원자력 대용량 청정수소 생산 클러스터’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제1기(포항시)에 이어 국토부 제3기 수소 도시 지원사업에 선정된 울진군은 원전을 연계한 100㎿급 청정수소 생산 시스템을 구축해 친환경 수소 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올해는 총사업비 400억원(국비 200, 지방비 200억원) 가운데 수소 도시 장기계획 수립과 실시설계에 국비 10억원을 투입하고 앞으로 수소 체험형 주민복지 시설 구축 등 수소를 주거·교통·문화에 접목해 친환경 도시를 구현해 나가기로 했다.
포항에서도 수소경제가 활기를 띨 전망이다.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에 구축 중인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1918억원)가 지난해 11월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수소특화단지로 지정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기업의 이전 보조금 2%가 지급되고 산업용지 수의계약도 허용되면서 연관기업 집적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동해안의 풍부한 에너지자원을 활용해 수소경제의 핵심인 저렴한 수소를 생산하고 적극 활용해 다가올 수소경제사회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