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노인 10명 중 4명이 65~69세로, 노인 비중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노인의 비중이 커지면서 평균 학력과 소득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기도는 20일 이러한 내용 중심의 ‘2024년 경기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2021년도 최초 조사 후 3년 주기로 실시된 두 번째다.
발표에 따르면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40.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70~74세(20.8%), 75~79세(16.1%), 80~84세(13.4%), 85세 이상(9.0%) 순이었다.
2021년도 조사에서 65~69세(34.9%)와 비교할때 5.8%p나 증가한 수치로, 이는 1955년 이후 출생자가 2021년부터 65세 이상이 되는 등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본격적으로 노인집단이 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노인 비중에서 상대적으로 젊은 65~69세 노인의 비중이 커지면서 평균 학력과 소득이 높아졌다.
고졸 이상의 학력은 2021년도 44.2%에서 2024년도 53.1%로 증가했으며, 월평균 소득 100만~300만원 구간도 2021년도 51.7%에서 2024년도 56.7%로 증가했다.
경기도 노인은 본인의 경제적 생활수준을 ‘중(45.2%)’ 또는 ‘중하(41.9%)’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취업상태를 묻는 질문에는 ‘취업 중’이 45.2%로 나타났으며, 일하는 이유로는 ‘생계비 마련’이 무려 79.4%에 달했다. 이어 ‘용돈 마련’(11.7%), ‘건강 유지’(5.3%) 순이었다.
특히 ‘생계비 마련’은 2021년도 조사 결과(68.7%)보다 10.7%p 상승했다.
노후 생활비 마련에 대해서는 ‘본인 스스로’(40.9%)가 가장 높았다. 이어 ‘본인과 사회보장’(34.5%), ‘사회보장’(16.3%) 순이었다.
눈에 띄는 것은 ‘본인 스스로’가 2021년도 조사 28.5% 비해 이번 조사에서는 12.4%p나 상승했다는 점이다.
경기도 노인의 85.8%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도 조사 결과(61.1%)보다 24.7%p 증가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해 8~9월 경기도 거주 65세 이상 도민 3599명을 대상으로, 표본으로 추출된 노인가구를 전문조사원이 방문해 대면 면접하는 방식으로 실시됐다.
김하나 도 복지국장은 “경기도 노인의 인식과 생활이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집단 유입이 본격화되며 변화를 명확히 보여줬다”며 “향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세심한 제도적 지원과 서비스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