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지난해 9630억원 암호화폐 탈취”… 한·미·일 첫 공동성명

입력 2025-01-14 17:44
국민일보DB

한·미·일 3국이 지난해 발생한 6억6000만달러(약 9630억원) 규모의 암호화폐 탈취 사건을 북한의 소행으로 공식 지목하고 규탄 성명을 냈다. 한·미·일이 북한의 암호화폐 범죄에 대한 공동성명을 낸 것은 처음이다. 3국은 민간부문 단체에 북한의 사이버위협 경감 방안을 숙지할 것을 당부했다.

한·미·일은 14일 ‘북한 암호화폐 탈취 및 민관 협력에 대한 공동성명’을 내고 “3국 관계 당국에 의해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라자루스 그룹’을 비롯한 북한과 연관된 지능형 지속 공격 단체들은 수많은 사이버 범죄 행위를 자행해 암호화폐를 탈취하고 거래소, 가상자산 수탁 업체 및 개인 사용자들을 겨냥함으로써 사이버공간 내 악성 행동 양상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한·미·일은 지난해 ‘DMM 비트코인’(3억800만 달러·약 4498억9560만원), ‘업비트’(5000만 달러·약 730억3500만원), ‘레인메니지먼트’(1613만 달러·약 235억5302만원) 탈취 사건을 북한 소행으로 지목했다. 3국은 추가로 ‘와지르 엑스’(2억3500만 달러·약 3431억4700만원), ‘라디언트 캐피털’(5000만 달러·약 730억1000만원) 탈취 사건도 북한 소행으로 지목했다.

한·미·일은 “미국 정부는 지난해 9월까지도 북한이 악성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암호화폐 업계를 대상으로 위장된 사회공학적 공격을 자행했음을 관측했고, 한국과 일본도 이와 유사한 북한의 동향과 전술을 주시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사이버 프로그램은 한미일과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특히 국제 금융 시스템의 통합성과 안정성에 중대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며 “3국의 민관협력 심화는 이러한 악성 행위자들의 사이버 범죄 활동을 적극 차단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북한의 악의적 사이버 활동 및 불법 수익 창출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 사이버 행위자들에 대한 제재 지정, 인도·태평양 지역 내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 등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한·미·일은 다양한 3자 실무그룹들을 통해 북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 공조를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다”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