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올해 도시지역의 유휴인력을 지원하는 도시근로자 참여자를 30만명으로 확대 추진할 방침이라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인력난을 겪고 있는 지역 생산현장에 도시지역 유휴인력을 단시간 근로로 매칭하는 틈새 일자리 지원 제도다. 지난해 연인원 10만5580명이 참여했다. 올해는 연인원 30만명이 목표다.
근로자는 요일과 시간을 선택해 하루 4~6시간 탄력 근무하며 도는 이들을 고용한 기업에 최저시급의 40%에 해당하는 인건비를 하루 최대 4시간까지 지원한다.
기업의 만성적 인력난을 해소하고 구직자에게는 자유로운 근무와 월 125만원 정도의 안정적 가계소득을 얻을 수 있다.
근로자는 근무일마다 교통비 1만원과 3개월 이상 근무 시간을 꽉 채우면 근속 인센티브 20만원이 지급된다.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는 4대 보험에 가입된다.
제조업, 사회복지시설, 사회적경제기업, 소상공인 등이 참여가 가능하다. 20세 이상 근로자를 신규 채용한 도내 소상공인과 착한가격업소, 연매출 2억원 이하 영세 소상공인, 백년가게, 임신·출산·육아 대체인력 등을 우선 지원한다. 외국인 근로자도 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도는 이 사업이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K-유학생 사업과 연계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사업은 행정안전부의 2024정부혁신 왕중왕전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2022년 시범 운영를 거쳐 지난해 도내 전 지역으로 확대 시행됐다.
김영환 지사는 “민생 안정을 위한 도정 최우선 과제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며 “도민의 피부에 와 닿는 혁신적 좋은 일자리가 많이 생길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