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 공휴일 ‘31일 요구’ 이어지는데… 정부, ‘27일’로 확정

입력 2025-01-14 07:40 수정 2025-01-14 10:13
연합뉴스

정부가 오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안건을 14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한다. 일각에서 설을 쇤 뒤 금요일인 3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편이 피로 해소에 더 낫다는 주장을 폈지만 이미 발표된 사항을 뒤바꿀 경우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토요일에 근무하는 기업이 적지 않다. 임시공휴일을 31일로 하면 나흘(28~31일)밖에 못 쉰다는 의견 등 반론이 많았다. 또 당정에서 이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이제 와서 바꾸면 여행 계획에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31일은 1월의 마지막 날이라 결제 마감이나 정산을 꼭 해야 하는 업종이 있는 점도 임시공휴일 지정을 어렵게 하는 요소다. 이 경우 회계팀이나 재무팀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등은 임시공휴일 지정과 관계없이 반드시 출근해야 하는 상황이라 27일 쉬는 것이 더 낫다는 의견이다.

귀경길보다 귀성길이 더 막히기 때문에 월요일에 쉬는 것이 금요일에 쉬는 것보다 교통 분산 효과가 크다는 관측도 있다. 임시공휴일을 27일로 지정할 경우 이날 출퇴근하는 근로자와 휴가를 내고 쉬는 일부 귀경객의 움직임이 겹쳐 교통 혼잡이 빚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통상 설 연휴기간을 끼고 임시공휴일이 생기면 해당 달 산업활동 동향 중 소매판매(내수)가 증가해 경기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이번 연휴는 최장 9일까지 길어지면서 내수 진작 효과가 다음 달로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다만 생산과 수출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앞서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이 임시공휴일을 27일 아닌 31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해 많은 누리꾼의 지지를 받은 바 있다. 그는 지난 10일 페이스북에 “많은 기혼여성에게는 27일 임시공휴일이 명절 가사노동을 늘리는 일이 될 수 있다”고 적으면서 ‘31일 휴일’을 처음 요구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