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집권 2기 행정부에서 초대 재무장관으로 지명된 스콧 베센트가 7억 달러(약 1조300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베센트는 오는 16일 상원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1억 달러 규모의 미 국채, 2500만 달러 상당의 노스다코타주 농지, 2500만 달러 상당의 바하마 부동산,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 중국 위안화 거래 계좌 등을 기록한 재산 신고서를 제출했다.
NYT는 “베센트의 신고 내역을 종합한 자산 총액은 7억 달러 이상으로 추산된다”며 “베센트는 장관으로 최종 임명되면 다수의 금융 자산을 청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전했다.
베센트는 ‘헤지펀드 대부’ 조지 소로스의 ‘오른팔’로 1990년대 영국 파운드화 공매도를 담당했다. 자신이 창업한 월가 헤지펀드 키스퀘어를 경영하면서 트럼프 당선인의 경제 자문역을 맡았고, 지금은 장관급 공직자 데뷔를 준비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한때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을 레임덕에 빠뜨리기 위해 배후의 실권자를 세우는 ‘그림자 연준 의장’을 계획했는데, 이 구상을 제시한 인물이 베센트다.
베센트가 신고한 재산에서 미 국채와 비트코인 ETF, 위안화의 경우 재무장관이 보유하면 이해 상충 위험이 큰 자산으로 볼 수 있다. 익명의 베센트 측 관계자는 NYT에 “베센트가 오랫동안 미 달러화 강세에 베팅했고, 위안화에 대해서는 숏(공매도) 포지션을 취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의 경우 오는 20일 출범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수혜주로 지목돼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해 7월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비트코인 콘퍼런스에서 “정부가 보유한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비축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비트코인은 지난해 11월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승리 이후 급등했다.
NYT는 “베센트가 노스다코타주 농지에서 대두와 옥수수 재배로 수입도 올리고 있다”며 “지난해 11월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에 있는 2500만 달러짜리 저택을 매물로 내놨다”고 부연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