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시라노’는 제 이름이 많이 알려지는 계기가 된 작품이에요. 5년 만에 다시 출연하게 돼 감사한 마음만큼 부담감도 큽니다.”
뮤지컬 배우 조형균이 10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CJ 라운지에서 진행한 라운드 인터뷰에서 ‘시라노’(~2월 23일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 출연 소감을 밝혔다. 조형균은 “주인공 시라노는 거의 매 순간 작품을 끌고 나가야 한다. 힘들지만 그만큼 배우에게 성장의 발판을 마련해 준다”고 강조했다.
‘시라노’는 프랑스 극작가 에드몽 로스탕이 쓴 희곡 ‘시라노 드 베르주라크’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뮤지컬이다. 17세기 프랑스의 시인이자 용감한 군인인 시라노는 ‘큰 코’로 인한 외모 콤플렉스 때문에 아름다운 아가씨 록산을 짝사랑하기만 한다. 그러다가 우연한 계기로 록산이 사랑하는 크리스티앙을 대신해 연애편지를 보내면서 세 사람의 관계는 꼬이게 된다.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등으로 유명한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이 음악을 맡은 ‘시라노’는 국내에서 2017년 초연, 2019년 재연에 이어 지난해 12월부터 삼연이 진행 중이다. 조형균은 “요즘은 빠르고 감각적인 게 추세고, 공연도 그런 데서 자유롭지 않다. 이에 비해 ‘시라노’는 옛날 어투와 서정적인 대사 등 묵직한 고전의 맛이 느껴진다”고 설명했다.
재연에서 처음 시라노 역할을 맡은 조형균은 이듬해 열린 제4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남우 주연상을 품었다. 그리고 이번 삼연에서 최재림, 고은성과 함께 다시 한번 시라노로 출연 중이다. 조형균은 “배우로 열심히 살아왔지만, 그동안 잡생각도 들고 고민도 많았다. 그러다가 ‘시라노’로 상을 받으면서 내가 배우로서 가는 길이 틀리지는 않았다는 확신을 받았던 것 같다”고 되돌아봤다.
이번 ‘시라노’는 재연과 비교해 록산과 크리스티앙의 캐릭터를 보강한 것이 특징이다. 록산은 혼란한 상황에 굴복하지 않는 주체적인 인물이 됐고, 록산을 향한 크리스티앙의 사랑 역시 좀 더 설득력을 가지게 됐다. 조형균은 “삼연에서 시라노의 본질 자체는 변하지 않았지만, 유쾌한 면모가 보다 두드러진다. 지고지순한 사랑과 불의에 굴복하지 않는 성격의 무게감도 고스란히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시라노가 마치 가면 속에 슬픔을 숨긴 광대처럼 느껴진다”면서 “재연 시즌 말미쯤에 깨달았던 디테일을 이번엔 처음부터 잘 살리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시라노의 상징인 ‘큰 코’가 이번 삼연에서 한층 커지고 추해진 것도 변화다. 시라노 역의 배우들은 각자의 얼굴형에 맞춰 특수 제작한 코 모형을 붙이고 무대에 오른다. 조형균은 “재연 시즌 때 시라노의 코가 멀리서 보면 잘 생겨 보인다는 말이 나왔다. 그래서 이번에 시라노의 외모 콤플렉스를 부각하기 위해 코를 더 크고 추하게 바꿨다”고 웃으면서 “코 모형은 숨 쉴 때 문제없도록 제작돼 연기에 지장 없다. 개인적으로는 코 모형 덕분에 오히려 캐릭터에 몰입이 잘 된다”고 말했다. 이어 “코 모형을 붙이는 것까지 포함해 분장 시간이 20분쯤 소요된다. 공연 중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예비 모형도 준비해둔다”는 뒷이야기도 들려줬다.
2007년 데뷔한 조형균은 그동안 ‘그리스’ ‘렌트’ ‘여신님이 보고 계셔’ ‘헤드윅’ ‘그날들’ ‘더데빌’ ‘하데스타운’ 등 다양한 뮤지컬에 출연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리고 2017년 JTBC ‘팬텀싱어 2’에 참가해 크로스오버 그룹 에델 라인클랑 멤버로 활동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디즈니 영화 ‘무파사: 라이온 킹’을 통해 더빙에도 참여했다.
조형균은 “스스로 발성이 약하다고 생각해서 오랫동안 집착 수준으로 발성 공부를 해왔다. 주변 동료들에게 특히 많이 물어보는 편인데, ‘팬텀싱어 2’에 출연할 때 성악 전공자들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됐다”면서 “오래오래 배우 생활을 하기 위해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으려고 한다. 새로운 도전을 계속하되 현재 내게 주어진 작품에 최선을 다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