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 논란’ 백골단 “이름 변경 검토… 활동은 계속할 것”

입력 2025-01-10 23:11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을 시도했던 지난 3일 오전 백골단 단원들이 서울 용산구 윤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영장 집행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윤석열 대통령의 관저 사수 집회를 벌이는 반공청년단이 일종의 자경단인 ‘백골단’을 운영하겠다고 했다가 논란이 일자 명칭 변경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정현 반공청년단 대표는 10일 텔레그램 공지를 통해 “일부 단원으로부터 이름을 변경하자는 건의가 있어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면서 “논란 속에서 백골단이 왜 등장하게 됐는지 살펴보면 어느 정도 납득이 가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백골단을 국회로 불러낸 것은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국가 비상사태로 몰고 간 더불어민주당”이라고 주장했다.

백골단은 1985년 창설된 서울시 경찰국 산하 사복 기동대다. 시민들을 체포할 때 무자비한 폭력을 휘둘러 논란을 일으켰다. 김 대표는 “백골단은 1980~1990년대 민주화 운동을 하던 대학생들 사이에서 악명 높은 경찰 조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동시에 시위나 내란 선동을 초기 진압하는 특수한 목적을 갖고 운영된 부대였기 때문에 사회 안정을 위해 필요했던 조직이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라고 옹호했다.

김 대표는 “(백골단의 이름을 바꾸더라도) 당연히 활동은 계속할 생각이다. 활동 계획은 논의 중이다. 이름 변경 여부가 결정되는 대로 공식 출범식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9일 김 의원 주선으로 국회에서 출범 기자 회견을 연 이들은 윤 대통령 관저 앞에서도 출범식과 도열 시위를 할 예정이었지만 비판 여론이 커지자 취소했다. 논란 이후 80여명에 이르렀던 백골단 간부와 단원은 50명대로 줄어들었다.

진보 단체뿐 아니라 보수 성향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지에서도 백골단이라는 이름을 쓰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일부 보수 단체도 선 긋기에 나섰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이끄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백골단과 직접적 관계가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 우리 단체는 집회 전반에 걸쳐 철저히 비폭력적 방식으로 우리의 입장을 표명해왔다”라고 밝혔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