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수입품에 60% 관세를 일괄 부과하겠다고 공언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정작 취임할 경우, 이를 실제 적용하는 부문은 매우 제한적일 것이라는 경제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홍콩 일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0일 골드만삭스의 얀 하치우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말을 인용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0%의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하치우스 수석분석가는 워싱턴DC에 기반을 둔 싱크탱크인 애틀란틱 카운슬에서 전날 이같이 말하며 "60%의 관세는 태양광 패널과 철강, 알루미늄 등 극히 제한된 부문에만 적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공약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6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자신의 분석 근거로 중국이 트럼프의 복귀로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가 격화되는 상황에 대비한 다양한 범위의 대응책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언급을 했다.
하치우스 이코노미스트는 "수출 통제, 채권 포트폴리오 활용, 미국 기업가들의 중국 활동을 더 어렵게 만들기 등의 수단을 예로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중국은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등 핵심 광물의 미국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미국이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의 대(對)중국 수출 제재를 가한 것에 대한 보복 차원이었다.
신창호 선임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