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비·출산비·보험료도 준다… 경제지표 ‘뚝’ 제주, 소상공인 지원 ‘안간힘’

입력 2025-01-09 15:19 수정 2025-01-09 15:26

제주지역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각종 지표가 악화일로에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새해 소상공인 지원에 집중한다.

9일 제주도에 따르면 이르면 3월부터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안내, 연결하는 상담 창구가 개설된다.

기존 제주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1661-5002)에 전문 상담 인력을 채용해 여러 기관에서 시행하는 각종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종합적으로 안내할 계획이다.

폐업 소상공인에 대해 원상복구비 지원도 이뤄진다. 제주도는 폐업 시 인테리어 철거비가 큰 부담이 된다는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올해 업체 당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자영업자 고용보험료 일부 지원 정책이 새롭게 추진된다.

자영업자 고용보험은 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주가 매출액 감소 등의 사유로 폐업한 경우 최대 7개월간 실업급여와 직업훈련비, 훈련장려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정부가 고용보험료를 최대 80%까지 5년간 지원한다. 여기에 제주도는 납부 보험료의 15~20%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1차 추경에 사업비를 편성해 이르면 7월부터 지원이 시작될 예정이다.

1인 자영업자에 대한 출산 지원 정책도 도입한다.

혼자 가게를 운영하는 여성 자영업자가 출산 시에도 사업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출산 후 3개월 간 대체 인력비를 월 최대 200만원까지 지원한다.

출산 당사자에 대해서는 3개월 간 30만원씩 총 90만원의 출산급여를 지급한다. 소상공인 지원 조례 개정과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거쳐 이르면 하반기부터 도입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도는 각종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모아 책자로 발간해 소상공인들이 적시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로 안정세이지만, 체감 물가가 높고 고금리 장기화와 내수회복 지연으로 가계 및 기업의 예금은행 연체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

특히 가계·기업 평균 연체율은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0.29%에서 지난해 10월 0.94%로 수직 상승했다.

고용률은 69%대로 양호하지만, 취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11월엔 전년 동월 대비 1만명이나 취업자가 줄었다. 도소매, 숙박·음식점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감소 폭이 컸다.

가계와 기업의 심리지수도 큰 폭으로 하락했다.

가계의 소비심리를 파악하는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2월 87.1로 전월대비 8.4포인트 하락하며, 2022년 11월(86.9)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100이 넘으면 과거의 경기 상황보다 좋음을, 100 미만이면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 지난해 6월 97.5에서 6개월만에 10.4포인트나 떨어졌다.

기업심리지수도 지난해 6월 93.9에서 12월 76.8로 17.1포인트 급락했다.

지난해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1187만6303명으로, 2023년 1268만1999명보다 6.4% 줄었다.

이런 가운데 무안공항 사고 여파로 제주항공이 오는 3월까지 국내외 노선 약 1900편을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제주기점 항공편 좌석 감축이 불가피해졌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9일 기자 차담회에서 “대외적 상황으로 당분간 내국인 관광객 수 회복이 어렵고, 경제지표도 안 좋게 나타나고 있다”며 “소비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