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행정부 AI칩 수출 국가별 상한 설정…한국 등 예외”

입력 2025-01-09 09:06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를 동맹국에는 제한 없이 수출하되 나머지 전 세계 국가에는 구매 상한선을 두는 새 수출통제를 계획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한국은 동맹국으로 예외를 인정받을 전망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8일(현지시간)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과 러시아로의 첨단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한 마지막 노력의 일환으로 엔비디아 등의 AI칩(반도체) 수출에 대한 추가 조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조치는 이르면 10일 발표될 예정이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는 AI 개발이 우방국에서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세계 기업들이 미국 표준을 따르도록 하기 위해 AI 반도체의 판매를 국가별, 그리고 기업별로 제한하는 구상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들을 3개 등급으로 나눠 수출을 제한한다.

한국과 일본, 영국과 프랑스 등 최상위 그룹들은 미국산 AI칩에 대한 접근을 제한받지 않는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 북한 이란 베네수엘라 이라크 등은 미국산 AI칩 수입이 실질적으로 막히게 된다. 나머지 중간 그룹 국가들은 국가별 상한을 적용받는데 미국 정부가 제시한 보안 요건과 인권 기준 등을 준수하면 상한을 늘려주는 방식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행정부는 그동안 엔비디아와 AMD 같은 미국 반도체 기업이 중국과 러시아에 AI 칩을 수출하는 것을 통제해왔다. 중국과 러시아의 군사 및 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견제하려는 목적이었다.

이에 대해 AI칩을 생산하는 엔비디아는 사실상 반대 성명을 냈다. 엔비디아는 “전 세계 대부분 국가로의 수출을 제한하는 규칙은 (반도체) 오용 위험은 줄이지 못하면서, 경제 성장과 미국의 리더십을 위협하는 정책 변화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