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최초로 미국 연방 상원에 진출한 앤디 김 의원이 8일(현지시간) 한국의 비상계엄과 탄핵 사태와 관련 “지금은 안정을 위해 정말 중요한 시간”이라며 “특정인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위해 상황을 이용할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DC 연방의회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언론을 상대로 연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이같이 답하며 “한국의 정치인들은 지금 국민들이 모든 언행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지켜보고 있음을 알고, 언행을 매우 신중하고 사려 깊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화가 제일 우선”이라고 다시 강조하며 “나는 확실히 희망적이다. 이 문제가 신속하고 평화롭게 절차에 따라 해결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계엄 선포의 초기 행동들에 대해 분명 우려했지만 국회가 신속하게 해제를 결의하고 군이 그날 밤 그 명령(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을 지키는 것을 보면서 일이 도를 넘어설 때도 한국의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으며, 민주적 절차가 안정적인 방향으로 상황을 되돌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현재의 (한국의) 대치 상황을 우려한다”면서도 “하지만 한국의 민주적 절차 속에서 회복 탄력성을 봤기에 안심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한국 등 아시아의 파트너 국가들에 강압적인 수단을 쓸 경우 “강하게 맞설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가 전날 기자회견에서 그린란드와 파나마운하 병합을 위해 군사적 수단도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을 거론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의 힘은 연합에서 나온다”며 “미국 우선주의가 미국 유일주의는 아니다”고 했다.
김 의원은 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 등과 대화했다”며 “그들에게 미국이 한미일 3국 협력과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등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희망을 직접 제기했다”고 소개했다.
김 의원은 “솔직히 말해 트럼프 당선인이 인도·태평양, 한국과 관련해 할 일에 대해 낙관하지 않는다”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과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려 노력하면 트럼프 행정부에 기꺼이 협력할 것이나, 그들이 파트너십을 약화하는 행동을 한다면 맞설 것이라고 (루비오 지명자 등에게) 말했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주한미군 주둔비 분담에 대해 “미국이 모든 부담을 짊어져서는 안 되지만 우리는 미국이 다른 나라들에 자선을 베푸는 것이 아님을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주한미군에 대해 “한국 보호뿐 아니라 대만해협에 관해 대중국 억지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며 “트럼프 당선인 등이 마치 우리가 오직 한국 방어를 위해 거기 있고, 아무것도 얻어가는 것이 없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을 들을 때 좌절감을 느낀다”고 설명했다.
연방 하원의원 출신인 김 의원은 지난해 11월 상원의원 선거에 도전해 한국계로는 최초로 당선됐다. 앞으로 상무·과학·교통위원회,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 등 총 4개 상임위원회에서 활동한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