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트럼프 호텔 앞에서 테슬라 사이버트럭을 폭발시키고 사망한 용의자가 생성형 AI(인공지능) 챗GPT를 폭발물 제조에 활용한 사실이 확인됐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라스베이거스 메트로폴리탄 경찰국은 용의자 매슈 리벨스버거(37)가 폭발물의 양을 계산하는 데 챗GPT를 사용했다고 밝혔다. 리벨스버거는 콜도라도 출신의 현역 육군 병사로, 경찰은 그가 홀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보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경찰의 케빈 맥마힐 보안관은 기자회견에서 “용의자가 챗GPT를 사용해 공격을 계획했다는 명확한 증거를 확보했다”며 “이는 미국에서 폭발물 제조에 챗GPT가 동원된 첫 번째 사례”라고 설명했다.
경찰 조사 결과 폭발한 사이버트럭에는 27㎏의 인화물질과 32㎏의 산탄총용 탄약이 실려 있었다. 당시 폭발로 인해 차량 인근을 지나던 7명이 부상을 입었다.
연방수사국(FBI)은 운전석에 타고 있던 리벨스버거가 차량 폭발 전 자기 머리에 총을 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앓고 있었을 가능성도 높다고 판단했다.
한편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성명을 통해 “AI 도구가 책임감 있게 사용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며 “자사 모델은 유해한 지시를 거부하도록 설계됐다”고 강조했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