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와 내수 부진 극복을 위해 세종시가 소상공인·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세종시는 올해 민생경제 활성화를 위해 첨단산업 전문인력 양성, 신산업 육성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 등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먼저 시가 지난해 기회발전특구·교육발전특구에 지정된 만큼 각 특구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RISE)을 연계해 첨단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모빌리티·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사업도 강화한다.
지역의 문제를 지역기업과 함께 해결하는 협업시스템도 구축한다. 일례로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문인력 교육 및 공모사업 관련 대응을, 남부발전은 ESG연계사업을, 한화에너지는 친환경 에너지 관련 정책을 제안토록 하는 등 기업이 시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
중소기업에게는 저리융자로 550억원을 지원하는 한편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ESG 경영지원을 확대한다. 북부권 산업단지 노동자들의 정주 여건이 개선되도록 산단 경유 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기숙사 임차비 지원 요건을 완화한다.
소상공인의 경우 각 상권의 매력·가치를 알릴 수 있는 차별화 전략을 수립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지역별 대표 상권 조성을 위해 로컬브랜드 거리를 조성하고 지역 명소가 될 수 있는 ‘뿌리깊은가게’를 선정한다. 소상공인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상권별 공동마케팅 사업도 추진한다. 특히 소상공인들이 창업 준비 단계부터 상담·지원을 받으며 사업체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종합지원 센터’도 운영한다.
김현기 세종시 경제산업국장은 “올해도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기업친화적 투자 환경을 만들어 첨단산업과 관련 인력을 육성하고 정주여건까지 개선하는 선순환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