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항공기 정비’ 사유로 제시간에 출발하거나 도착하지 못한 항공편이 제주항공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정비 지연은 제주항공이 항공기 가동 시간을 늘린 2023년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제주항공은 지난해 상반기 운항한 5만2883편 중 536편(국내선 344편, 국제선 192편)에서 정비 지연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운항한 국내 항공사 10곳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전체 운항 편수가 더 많은 대형 항공사(FSC) 대한항공(422편)보다 100편 이상 많고 경쟁 저비용 항공사(LCC) 티웨이항공(315편)이나 진에어(243편), 에어부산(227편)보다는 2배 안팎 많다.
제주항공의 지난해 상반기 정비 지연율은 1.01%(국내선 1.26%, 국제선 0.75%)로 전체 평균 0.64%(국내선 0.61, 국제선 0.68%) 대비 0.37% 포인트 높다. 제주항공은 2023년에도 정비 지연이 943건(국내선 524건, 국제선 419건)이나 발생했다. 같은 해 전체 운항 편수는 9만7000여편으로 대한항공(14만4000여편), 아시아나항공(10만1000여편)에 이어 세 번째였지만 정비 지연 건수는 가장 많다. 같은 해 정비 지연율은 0.97%로 전체 평균(0.59%) 대비 0.38% 포인트 높다.
제주항공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인 2020~2022년에는 연간 정비 지연 건수가 63건, 74건, 43건에 그쳤다. 이 기간 정비 지연율도 0.05~0.12%로 0.14~0.16%인 각 해 평균을 밑돌았다. 월평균 항공기 운항 시간이 2020년 174시간, 2021년 132시간, 2022년 208시간으로 적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3년 412시간으로 증가한 해부터 정비 지연 건수가 급격히 뛰었다. 전문가들은 제주항공 항공기가 장시간, 더 자주 운행되면서 기체 피로도가 높아진 탓이라고 해석한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