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 현장 사고조사에 엔진 제작사 합류…블랙박스 6일 미국 이송

입력 2025-01-03 16:25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무안 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 실장,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 김홍락 공항정책관. 연합뉴스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을 조사하는 한미 합동조사팀에 사고기의 엔진 제작사인 미국 측 관계자가 추가 합류했다. 커넥터가 분실돼 미국으로 보내 분석하기로 한 비행기록장치(FDR)는 6일 항공편으로 미국 워싱턴으로 운송한다.

국토교통부는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이날 GE (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 1명이 합동조사팀에 추가됐다”고 밝혔다. GE 에어로스페이스는 사고기인 B737-800에 탑재된 항공 엔진을 제작한 미국·프랑스 합작회사 CFMI의 미국 측 업체다.

이번 합류로 한미 합동조사팀 규모는 총 23명으로 늘었다.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항철위) 12명, 미국 연방항공청(FAA) 1명,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3명, 보잉 6명, GE 에어로스페이스 1명 등이다.

비행기록장치(FDR)는 오는 6일 비행편으로 NTSB 본부가 있는 미국 워싱턴에 보낼 예정이다. 항철위 측 조사관 2명이 동행한다. FDR은 커넥터가 분실돼 국내 분석이 어려운 상황이다.

조사팀은 전날 음성기록장치(CVR)에서 추출한 자료를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마치고 현재 녹취록을 작성 중이다.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녹취록 작성은 수일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