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사고의 전조 증상으로 볼 수 있는 ‘항공안전장애’가 2023년 500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무안 제주항공 참사와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 더욱 철저한 사전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3년 국적 항공사의 항공안전장애는 497건 발생했다. 항공안전장애는 사고, 준사고의 요인을 식별하고 제거하기 위해 정부에서 수집하는 각종 안전사례다.
2019년 409건이던 항공안전장애는 코로나19 사태가 절정이던 2020년(264건)과 2021년(221건) 크게 감소했다. 이후 2022년 322건으로 증가한 후 2023년에는 큰 폭으로 늘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후 항공수요는 회복됐지만 이에 걸맞은 안전여건은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국토교통부가 국적 항공사에 요구하는 안전 관련 개선도 많아졌다. 국토부는 2023년 국적 항공사를 대상으로 상시 안전감독을 2918회 실시해 250건의 개선 조치를 내렸다. 이는 2022년(215건)보다 16.3%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에어인천(15.8%), 티웨이항공(14.8%), 플라이강원(14.1%), 이스타항공(13.6%), 에어로케이(10.3%), 제주항공(7.9%) 등 저비용항공사(LCC)에 개선 조치가 많이 내려졌다. 대한항공(7.0%), 아시아나항공(3.9%) 등은 이보다 적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