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 확정…균형발전 최우선

입력 2025-01-02 09:02 수정 2025-01-02 09:57
인천시청 인천애뜰 전경. 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최근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확정해 공고했다고 2일 밝혔다.

인천도시기본계획은 목표년도까지 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과 밑그림을 제시하는 도시계획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번 변경안은 상위계획인 ‘2040년 수도권광역도시계획’, 새롭게 제정된 ‘노후계획도시 정비법’과 ‘철도지하화 특별법’ 등 관련 법률을 반영해 수립됐다. 특히 수도권광역도시계획에 담긴 비전인 ‘살기 좋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상생·통합의 수도권’을 수용해 인천의 미래상을 ‘어디서나 살기 좋은 글로벌 도시 인천’으로 설정하고 있다.

변경안의 최우선 목표는 원도심과 신도시 간 균형발전이다. 이를 위해 도시 외곽 공유수면 매립지에는 구체적인 건축계획이 마련된 이후 용도지역을 결정하는 ‘시차지역제’가 도입됐다. 시는 앞으로 시차지역제를 적용해 북성포구 상업용지를 보전용지로 전환하고 시민들이 언제든 찾아와 즐길 수 있는 수변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내년 예정된 행정구역 개편에 대비해서는 중구 영종과 서구 검단지역에 새로운 행정 조직을 설치하고 관련 기반시설 설치와 개발사업을 탄력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유동지역제’가 적용됐다. 유동지역제는 기존 시가화예정용지를 권역생활권별로 조정할 수 있는 제도다. 지난 2023년 12월 28일 개정된 ‘도시·군관리계획 수립지침’에 따라 신규 개발사업의 진행 실적을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생활권별로 관리·조정할 수 있다.

인천이 국제경쟁력을 갖춘 지속가능한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유엔 해비타트(UN Habitat)의 지속가능성 지표도 변경안에 반영됐다. 이를 통해 시는 도시 성장의 세계적 경향인 지속가능성을 선도하고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도시로 인천을 성장시킬 방침이다.

변경안의 초안은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기반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만들어져 환경, 교통, 토지이용, 공원·녹지 및 방재 등 계획 간 정합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인간의 창의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혁신적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변경안은 시 누리집에서 열람할 수 있다. 시는 이달 중 전략계획 보고서를 발간해 도시전략과 지속가능한 계획 입지 가이드라인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급변하는 도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특화 정책과 전략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변경안은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인천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