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공동주택 안전을 위해 2025년 관련 예산을 대폭 증액했다고 2일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공동주택 공용시설 보수비용 지원 및 소방을 비롯한 안전시설 보강에 전년 대비 26억6000만원 증액(증액 도비는 8억원)돼 총액이 125억원(도비 37억5000원)이다.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점검에도 전년 대비 5억7000만원 늘어(증액 도비는 2억원), 총 15억5000만원이다.
증액된 예산에 따른 사업 계획으로는 노후 공동주택 94개 단지의 공용시설과 200개 단지의 소방 및 안전시설 보강을 지원한다.
지속적인 화재 예방 및 안전 시스템 강화를 위한 조치로 충전시설 이전, 질식소화포, 하부주수장치, 화재감지CCTV, 노후 감지기 교체 등 실질적인 지원을 추진한다.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 점검을 위해 211개 단지에 대한 안전점검을 지원한다. 소규모 공동주택은 의무 관리대상 공동주택에 비해 안전 관리가 미흡한 경우가 많은 데 따른 것이다.
지원 대상은 공용시설 보수비용 지원의 경우 준공 후 15년이 경과한 공동주택이다. 소방 등 안전시설 지원은 모든 공동주택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관할 시·군별 공동주택 부서에 문의하면 된다.
박종일 도 공동주택과장은 “2024년 8월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이후 공동주택 내 지하주차장 화재 예방 및 안전 시스템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했고, 경기도의회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예산 증액을 통해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해져서 다행이며, 앞으로도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