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2·3 비상계엄 사태 사흘 후 열린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은 기정사실”이라고 발언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재부는 그러한 취지의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즉각 반박했다.
김양희 대구대 경제금융학과 교수는 지난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지난 6일 비공개로 진행된 대외경제자문회의에 참석했다고 밝히며, 당시 최 권한대행의 발언을 일부 공개했다. 김 교수는 “비공개 회의 석상에서 한 발언이었으나 워낙 엄중한 시국이라 불가피하게 일부 발언을 공개함을 양해 바란다”고 했다.
김 교수는 “최 권한대행의 당시 발언을 인상 깊게 기억하고 있다”며 “이번이 자신이 공직자로서 겪는 세 번째 탄핵이고 ‘어차피 탄핵은 기정사실’이라며 의외로 담담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최 권한대행의) 당시 그 말이 지금도 유효하다고 믿는다”며 “당시 경제부총리의 역할은 문제를 벌인 자들이 엎질러 놓은 물을 경제에 국한해 쓸어담는 부수적인 것이었다면, 지금 대통령 권한대행의 역할은 이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쥔 결정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미국 트럼프 2기 정부의 보편관세 부과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였으나 12·3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회의 주제가 ‘현 시국에서의 대외부문 관리 방안’으로 바뀌었다.
김 교수는 첫 페이스북 글을 작성한 후 약 5시간이 지나 “기재부 국제금융차관보로부터 항의성 전화를 받았다”는 글을 추가로 올렸다. 김 교수는 “지금은 침묵할 상황이 아니다. 이런 전화 할 시간 있으면 대통령 권한대행께 신속한 탄핵을 위해 노력하라고 진언해 달라”고도 덧붙였다.
기재부는 김 교수의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고 보도 설명자료를 배포했다. 기재부는 “지난 6일 대외경제자문회의에서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은 기정사실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적이 없다”고 전했다.
이 같은 보도 설명자료 배포 소식이 전해지자 김 교수는 다시 한번 페이스북에 “보도자료를 배포했군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심산이냐”고 비판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