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 위기를 해결하고자 전국적인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지방정부는 2030대 기혼 여성에게 전화해 임신 계획을 묻고 산전 검진까지 권유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일부 지역에서는 둘째 출산 시 장려금 지원을 약속하며 출산을 독려하고 있다. 저장성의 한 주민은 “공무원에게 둘째 아이를 출산할 경우 최대 10만 위안(약 2000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밝혔다.
중국 국가보건위원회는 대학에 ‘사랑과 결혼’ 과목 도입을 권장하고 있으며, 국영 언론은 출산이 여성의 건강에 이롭다는 내용을 정기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FT에 따르면 중국은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추월하는 등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이다. 런쩌핑 경제학자는 지난달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인구는 고령화, 저출산, 저결혼율이라는 세 가지 주요 추세에 직면해 있다”며 “아이는 줄고 노인은 늘고 있다. 중국의 고령화 속도와 규모는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중국 국무원은 지난 10월 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출산 친화적 사회’ 건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출산 장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당국의 정책이 청년들의 출산과 결혼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에서는 경기 부진과 실업률 상승 등으로 청년층이 결혼과 출산을 꺼리고 있다.
중국 인구 전문가인 왕펑 미국 캘리포니아대 어바인캠퍼스 사회학과 교수는 FT에 “중국 정부는 여전히 행정적 권한을 동원해 출산율을 높이려는 과거의 ‘플레이북’을 따르고 있다”며 “정책을 통해 출산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했지만, 출산을 장려하는 것은 훨씬 어려운 과제다”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날 젊은 남녀는 중국 역사상 가장 교육 수준이 높은 세대”라며 “이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은 과거와 완전히 다르다”고 덧붙였다.
왕펑 교수는 “중국 정부는 젊은 남녀, 특히 젊은 여성들이 직면한 높은 생활비, 경력 단절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출산율을 끌어올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