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겨울철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도민 모두에게 따뜻한 겨울을 선사하기 위해 난방비 지원, 긴급복지 콜센터 운영, 사회복지시설 안전점검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취약계층과 복지시설의 안전 확보에 나서고 있다.
도는 위기가구 발굴과 지원을 위해 긴급복지 콜센터 운영 및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2022년 8월 문을 연 긴급복지 콜센터는 운영 이후 현재까지 6006건의 복지상담을 통해 5653명에게 공적·민간 지원을 제공했다. 특히 이번 겨울에는 위기가구 제보 활성화를 위해 신규 홍보영상을 제작했으며, 지난 11월 구리·군포·수원 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을 방문해 홍보활동을 펼쳤다.
더 나아가 빅데이터를 활용해 전기나 가스가 끊긴 에너지 위기가구를 신속히 발굴했다. 지난 11월 25일부터 해당 가구 6367명에게 민간 후원단체와의 연계를 통해 난방 지원을 진행하고,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선정 등의 제도적 지원도 제공하고 있다. 누적 제보는 1058건에 이르며, 이는 복지 사각지대였던 위기가구 발굴에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도는 추운 겨울 난방비로 고통받는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실질적인 경제적 지원책도 마련했다. 경기도는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6만8504가구와 중증장애인 수급자 2만3322가구에 대해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매월 가구당 5만원의 난방비를 지급한다. 이와 동시에 경로당 8459곳에도 난방비를 지원하며, 겨울철 지역사회의 난방비 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내 약 5만9000명에 달하는 취약노인들에게는 생활지원사 등이 직접 전화하거나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며 돌봄 공백을 방지하고 있다.
노숙인의 경우에도 겨울철을 대비한 특별한 보호활동을 추진 중이다. 지난 11월부터 거리상담과 순찰을 통해 노숙인을 보호했으며, 7848건의 방한용 물품을 제공했다. 특히 한파 특보 발령 시 취약노인에게 생활지원사 등이 방문·전화 등으로 안부를 확인한다.
사회복지시설의 안전점검도 꼼꼼히 이뤄지고 있다. 경기도는 동절기 대비를 위해 도내 4375곳의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소방, 전기, 가스 등 안전설비를 점검하고, 시설물의 전반적인 안전 상태를 확인하는 현장 점검과 민관 합동점검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대형 사고를 예방하고 시설 내 이용자들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도는 699곳의 사회복지시설에 서한문을 발송하고 위문금 지원 및 시설 방문을 통해 실질적인 격려 활동을 펼치고 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서는 ‘희망 2025 나눔캠페인’을 내년 1월 말까지 진행하며 기부금 모금을 독려하고 있다.
김하나 도 복지국장은 “이번 겨울철 지원 대책과 안전점검은 도민 모두가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사회복지시설 안전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