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전 행정통합 ‘컨트롤타워’ 출범

입력 2024-12-24 11:30 수정 2024-12-24 11:30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 등이 24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충남·대전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출범식에 참석해 기념촬영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충남과 대전이 분리된 지 35년 만에 행정통합을 추진하기 위한 컨트롤타워가 출범했다.

충남도는 충남·대전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가 24일 대전시청 세미나실에서 출범식을 갖고 개최 횟수와 시기, 소위원회 운영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은 김태흠 충남지사와 이장우 대전시장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위촉장 수여, 1차 회의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도와 시는 수도권에 이은 대한민국 2위 초광역경제권을 구축하기 위해 지난달 21일 행정통합 추진을 선언했다.

민관협의체는 양 지역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경제·사회단체 대표, 학계 전문가 등 총 30명으로 구성했다.

공동위원장은 정재근 한국유교문화진흥원장(충남)과 이창기 한국장애인멘토링협회 중앙총재(대전)가 맡았다.

충남 위원으로는 이재완 호서대 교수, 황석준 공주대 교수, 김석곤·양경모·편삼범 도의회 의원, 최원철 공주시장, 박범인 금산군수 등이 참여했다.

대전에서는 최진혁 대전시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박충화 대전대 부총장, 최호택 배재대 교수, 원구환 한남대 교수 등이 위원으로 참여했다.

민관협의체 위원 임기는 행정통합 법률안 제정 때까지다.

민관협의체는 통합 자치단체 명칭과 청사 위치, 기능·특례 등 주요 쟁점이 담긴 통합 법률안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해 양 도·시에 제안할 계획이다.

도와 시는 중앙부처와 국회 협의를 거쳐 통합 법률안을 제정해 2026년 7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출범시킬 방침이다.

김태흠 지사는 “행정통합 추진은 시·도민의 의사가 가장 중요한 만큼 각계각층의 의견을 상향식으로 수렴하기 위해 이번 민관협의체를 구성했다”며 “충남과 대전이 먼저 통합한 후 충북, 세종까지 통합을 이뤄 단일 경제권으로 가야한다”고 말했다.

이장우 시장은 “대전과 충남이 힘을 합쳐 수도권에 필적하는 경쟁력을 갖춰야 할 때”라며 “한뿌리였던 대전과 충남이 행정통합으로 미래 대한민국의 한 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충남과 대전이 통합하면 인구 358만명, 재정 규모 17조3439억원, 지역내총생산(GRDP) 191조6000억원 등 각종 지표가 상위권에 오를 예정이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