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두노총’ ‘냉동실 발굴단’…NYT가 주목한 한국 집회 깃발 문화

입력 2024-12-24 00:02
NYT는 22일(현지시간) ‘밈과 농담과 고양이…정치 시위에 패러디를 활용하는 한국인들’이라는 제목의 온라인 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촉구 집회에 등장한 각종 패러디 깃발들을 조명했다. 뉴욕타임스 홈페이지 캡처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이후 벌어진 한국의 집회 시위에 각종 ‘패러디 깃발’이 등장하며 외신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NYT는 22일(현지시간) ‘밈과 농담과 고양이…정치 시위에 패러디를 활용하는 한국인들’이라는 제목의 온라인 기사에서 이번 집회에 나타난 풍자와 해학을 분석했다.

NYT는 “이번 달 윤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면서 거리로 나선 한국인 중 일부는 농담과 풍자를 통해 분노를 표현하는 뜻밖의 방식을 찾아냈다”며 “그들은 고양이와 해달, 음식에 관한 기발한 메시지가 담긴 현수막과 깃발을 게양했고, ‘만두노총’과 같은 실제 존재하지 않는 단체를 패러디해 깃발을 흔들었다”고 설명했다.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이색 깃발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NYT는 집회 현장에서 촬영한 다양한 깃발의 사진도 함께 첨부했다. ‘만두노총 군만두노조’ ‘방구석 피자토핑 연구회’ ‘냉동실 발굴단’ ‘일정밀린 사람 연합’ ‘빡친(화난) 고양이 집사 연맹’ 등 재치있는 사례를 소개했고, 사진 속에 깃발에 적힌 문구의 의미를 풀이해주는 영문 설명도 달았다.

신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는 불행한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 대통령에 반대하는 연대를 형성하는 데 유머를 활용하자는 아이디어”라며 “한국인들은 대통령 퇴진과 같은 심각한 목적의 시위 또한 여전히 매력적이고, 낙관적이며 축제와 같은 분위기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분석했다.

NYT와 인터뷰를 진행한 이기훈 연세대 사학과 교수는 “이들은 ‘정치적 단체와 아무 관련이 없는 우리에게도 이 상황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려는 것”이라며 “시위대가 그것을 자각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들은 화났을지언정 엄숙해지거나 도덕주의적이 되지 않았다”고 짚었다. 아울러 이러한 깃발들의 존재가 긴장을 완화해주는 효과를 냈다고도 말했다.

실제 집회에 참석한 이들도 SNS를 통해 본인들이 목격한 기발한 깃발 사진을 공유하거나, 직접 제작한 깃발 사진을 게시하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엑스(X) 캡처

실제 집회에 참석한 이들도 SNS를 통해 본인들이 목격한 기발한 깃발 사진을 공유하거나, 직접 제작한 깃발 사진을 게시하며 공감대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엑스(X·옛 트위터) 이용자는 “집회에 오면 좋은 점, 재미있는 깃발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모두 화이팅이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지난 21일 집회에 참석한 다른 이용자는 “SNS에서 유명한 깃발들도 보고, 함께 행진하니 눈이 내리고 추웠지만 마음은 따뜻했다”라는 후기를 남겼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