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태어난 고향에서 배우고 취업하고 가정을 꾸리는 정주형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각 지역의 특색에 맞는 교육과 일자리 창출이 인프라 구축 성공 핵심이다.
경북도는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된 13개 시·군의 산업 강점, 특화 교육 자원, 지역 대표 사업 등을 적극 활용한 교육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경북도는 민선8기 들어 유치한 정부 정책 특구인 기회발전특구, 국가산업단지, 국가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분야별 클러스터 등과 함께 교육발전특구 사업을 추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방침이다.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된 시·군에는 재정지원은 물론 학교설립과 폐교 활용, 교육과정 개발 등 지역 특성에 맞춘 다양한 특례가 적용된다.
교육발전특구에 2026년까지 480억원 정도의 도비를 투입해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초·중·고·대학 연계 강화, 지역인재 양성, 산업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발전 전략을 세우고 시·군과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포항시는 기회발전특구, 첨단전략산업특화단지 지정으로 동력을 얻은 이차전지 분야 인력 양성에 집중해 특화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협약형 특성화고를 육성할 방침이다. 상주시 역시 기회발전특구와 연계해 이차전지산업 인력을 양성한다.
구미시는 반도체와 이차전지, 방산 등 지역산업 기반 맞춤형 인재를 키울 계획이다. 영주시는 첨단베어링국가산업단지에 특화된 인력을 양성하고 특성화고 지원 체계를 강화한다.
영천시는 군인자녀 모집형 자율형공립고를 육성하고 지역연계 청소년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김천시는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지·산·학을 연계한 현장 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안동시는 전통에 초점을 맞춘 K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나선다.
경산시는 대구와 가까운 특성을 활용해 도심형 돌봄센터 구축, 맞춤형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울진군은 국가산단 입주기업 취업을 위한 맞춤형 교육에 나선다. 울릉군은 청소년 학습공간 구축과 인재교육원 설립 등을 추진하고 있다.
칠곡군, 예천군, 봉화군도 지역 맞춤형 교육과 교육격차 해소 사업, 다목적 도서관 등 교육시설 건립, 이주민을 위한 글로벌 리더 양성 교육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태어난 고향에서 공부, 취업, 결혼해 가정을 꾸릴 수 있는 정주형 사회를 만들 것”이라며 “시·군과 함께 지방 주도의 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저출생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