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올해보다 20% 이상 줄어들어 2021년 이래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서울은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물량이 33%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부동산 중개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내년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3만7582가구로 올해(30만4213가구)보다 6만6000여 가구(22%) 적다. 이는 2021년(23만6622가구) 이후 가장 적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1만900가구, 지방이 12만6682가구가 입주한다. 올해와 비교하면 각각 27%, 17% 감소한 수준이다.
수도권에선 서울만 입주 물량이 증가한다. 서울에선 올해(2만3507가구)보다 33% 많은 3만1334가구가 입주하게 된다. 자치구별로 보면 동대문구(9522가구) 서초구(3307가구) 송파구(3054가구) 성북구(2840가구) 성동구(2707가구) 순이다.
특히 정비사업이 완료되는 대규모 사업장들이 다수 입주한다. 총 36개 단지가 입주하며 이 중 1000가구 이상의 대규모 단지는 총 9곳이다.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을 재개발한 ‘이문 아이파크자이’(11월 입주 예정)가 4321가구로 가장 규모가 크다.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3307가구는 6월에, 송파구 잠실동 ‘잠실래미안아이파크’ 2678가구는 12월에 입주한다.
경기(5만7475가구)와 인천(2만2091가구)의 입주 물량은 각각 42%, 28% 감소한다. 지방은 전체적으로 입주 물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부산과 대구는 줄고, 충청권과 경남 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하반기부터 미등기 신축 아파트 대출(후취담보 대출)도 제한돼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