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엑스에서 22~31일 공연되는 오페라 ‘어게인 2024 투란도트’ 개막을 몇 시간 앞두고 연출가가 프로덕션(㈜2024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에 결별을 선언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탈리아 출신의 저명한 연출가 다비데 리베르모어는 22일 오전 언론에 보도자료를 통해 ‘어게인 2024 투란도트’ 프로덕션과 결별하며 그 예술적 결과물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발표했다. 그 이유로 박현준 총감독이 이끄는 프로덕션이 장이머우 연출을 강요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리베르모어 측은 “이번 프로젝트를 만들며 양측이 정식으로 계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덕션의 일방적이고 지속된 변경으로 인해 리베르모어와 그의 협력자 카를로 샤칼루가의 연출 작업이 불가능해졌다. 특히 제작진은 장이머우 감독이 마조 무지칼레 피오렌티노 페스티벌에서 연출한 (‘투란도트’) 공연에서 무대동선을 복사하도록 강요했다”면서 “이로 인해 프로덕션은 원래의 기획 의도에서 벗어났고 세계적으로 재능과 전문성을 존중받아 밀라노 스칼라극장에서 4회 연속 개막공연의 기록을 세운 연출가 리베르모어가 보여주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났다. 리버모어는 ‘어게인 투란도트’를 자신의 작품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이 프로덕션의 예술적 결과와 완전히 결별한다고 선언했다”고 주장했다.
㈜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의 ‘어게인 2024 투란도트’는 2003년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장이머우 연출 ‘투란도트’ 공연을 주도했던 박현준 총감독이 이끌고 있다. 제목에서 짐작하듯 2003년 경기장 오페라 붐의 출발점인 상암월드컵경기장의 ‘투란도트’의 성공을 다시 한번 구현하겠다는 의도다. 이번 공연은 가로 45m, 높이 17m의 대형 세트가 코엑스 D홀 특설무대에 설치되며,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을 활용해 다채로운 배경을 구현할 계획이다. 실내 오페라 공연 역사상 세계 최대 규모라는 게 프로덕션 측의 설명이다.
리베르모어 측은 “제작진과 연출가 사이의 건설적인 대립은 일반적인 관행이지만, 이번 경우에는 그러한 협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협력이 아닌 비전문적인 아마추어 수준의 권위주의적 강요였다. 또한, 박 감독의 프로덕션은 계약상의 지불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면서 “리베르모어는 필수적인 품질 기준과 전문적 존중이 결여된 프로덕션과 자신의 이름이 연관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 필요한 경우 이 보도자료에 포함된 모든 진술을 정확히 입증할 수 있는 이메일 교환 내용을 포함한 광범위한 문서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 관계자는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연출가와 프로덕션의 마찰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조만간 프로덕션의 입장을 정리해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리버모어가 제기한 장이머우 연출 강요 문제와 관련해 “박 감독님이 참고하라고 제안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한, 계약상의 지불 문제와 관련해서도 “개런티를 협의중”이라고 말했다.
양측 입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어게인 2024 투란도트’는 개막 전부터 연출가의 결별 선언으로 공연 완성도에 나온 말이 나올 수 밖에 없게 됐다. 나아가 개런티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자칫 국제적 소송 문제로 비화될 우려도 제기된다.
장지영 선임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