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금은 최소 30조원 이상의 ‘슈퍼 추경’을 시급히 편성해 미래먹거리와 소상공인 지원 및 청년일자리, 민생회복지원 등에 써야 한다”고 거듭 목소리를 높이고 나섰다.
김 지사는 지난 20일 경남 양산 평산마을로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해 “당시(2017년) 문 대통령님 취임 후 바로 추경을 편성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인 2017년 집권했고, 당시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 초대 경제부총리였다.
2016년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은 2%대에 머물렀으나 문 대통령-김 경제부총리 체제에서 2017년 3.2%의 성장을 이룩하면서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달성했다.
이에 문 전 대통령은 “지금 정부는 ‘부자감세’에다 재정건전성에 얽매여 재정 운용을 너무 방어적, 축소적으로 해왔다”고 지적하면서 “(김 지사가) 경제는 워낙 전문가시니 (지금의 위기상황에서) 메시지를 계속 내주시라”고 당부했다.
김 지사가 경제부총리로 세 차례 정상회담에 모두 배석했던 문 전 대통령과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의 세 차례 회담 이야기도 나왔다.
문 전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관련 대화는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우리나라가 비상계엄 사태 및 탄핵정국에 의해 외교적으로 패싱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걱정과 함께 나왔다.
두 정상 간 신뢰 관계 성립과 한반도 평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문 전 대통령을 ‘내 친구 문재인 대통령’이라 부르게 된 것 등이 주된 소재로 대화가 진행됐다.
김 지사와 문 전 대통령은 작금의 가뜩이나 높은 물가와 환율이 폭등하고 있는 비상계엄 사태의 후유증에 대해 깊이 우려했다.
이날 김 지사는 문 전 대통령에게 비상계엄 사태 이후 외국지도자 2500여 명에게 펼친 ‘서한외교’를 설명하면서 “(긴급서한 답장으로) 클라우스 슈밥 WEF 회장이 내년 다보스포럼 초청장을 보내왔다”며 “국제사회가 한국 상황을 궁금해 하는데, 중앙정부선 어려울 듯하니 김동연 지사가 한국 대표로 왔으면 좋겠다고 해서 참여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에 문 전 대통령은 사실상 외교공백에 놓인 상황에서의 김 지사의 이러한 행보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이처럼 이날 김 지사의 문 전 대통령 방문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정국의 혼돈 속에 위기극복의 경험과 지혜를 구하기 위해서였다는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앞서 전날 김 지사는 경기도청에서 ‘탄핵정국 경제재건 위한 긴급브리핑’을 열어 30조원 슈퍼 추경 편성과 기준금리 ‘빅컷’(0.5% 포인트 금리인하) 등을 촉구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