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미국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시설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 지급할 보조금이 47억4500만 달러(약 6조9000억원)로 결정됐다. 양측이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를 서명할 때 발표한 64억 달러(약 9조2000억원)보다 약 26% 적은 규모다.
미국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예비거래각서 체결과 부처 차원의 실사를 완료하고 반도체법에 따라 이 같은 보조금을 삼성전자에 직접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보조금은 삼성이 현재 텍사스주 중부에 있는 반도체 생산 시설을 첨단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의 종합적 생태계로 만드는 데 쓰인다. 삼성은 이 사업에 370억 달러(약 53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삼성의 투자 규모 축소가 보조금 감액에 영향을 미쳤다. PMT 서명 당시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총 400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었는데, 삼성의 시설투자 규모가 30억 달러(7.5%) 줄었다.
바이든 행정부의 거액 보조금 정책에 비판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기조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삼성에 대한 이번 투자로 미국은 세계 5대 최첨단 반도체 제조업체가 모두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됐다”고 밝혔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