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이용자 10명 중 9명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OTT 유료 이용자 중 15%는 스포츠 중계 때문으로 나타났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20일 ‘2024 콘텐츠 이용행태 조사’와 ‘2024 온라인동영상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1년간 콘텐츠 유형별 이용률은 ▲OTT(89.3%) ▲음악(65.3%) ▲애니메이션(22.4%) ▲만화·웹툰(19.1%) ▲캐릭터 구매(8.6%)순으로 나타났다.
젊은 층은 다양한 콘텐츠 유형을 활발히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OTT(99.6%), 만화·웹툰(50.3%), 음악(80.1%) 이용률이 다른 연령층 대비 높았으며, 10대는 애니메이션(50.4%), 캐릭터 구매(19.4%)에서 높은 이용률을 기록했다.
평균 2개의 콘텐츠 유형을 이용하는 모습도 보였다. 콘텐츠 간 교차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애니메이션 이용자가 만화·웹툰을 이용하는 비율이 51%로 높게 나타났다. 만화·웹툰 이용자의 21.7%와 애니메이션 이용자의 24.8%는 캐릭터 구매도 한다고 응답했다.
플랫폼 요금제 다변화 및 콘텐츠 다양화에 따른 이용행태도 눈에 띄었다. 유튜브 이용자의 14.6%는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20대(27.6%)와 30대(28.3%)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또 티빙과 KBO의 유무선 중계권사업 계약의 영향 등으로 유료 OTT 이용자의 15.4%가 스포츠 중계 시청을 위해 구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30.6%)와 남성(75.8%) 비중이 높았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의 영향으로 유료 OTT 플랫폼 이용자의 계정 공유율은 지난해 대비 약 12% 포인트 하락한 57%로 조사됐다.
두 조사는 전국 10세 이상 국민 5033명을 대상으로 6월27일부터 8주간 대면 면접을 통해 진행됐다.
맹경환 선임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