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8일 국회에서 양당 대표로는 처음 만나 비상계엄 및 대통령 탄핵소추 이후 정국 수습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 대표는 자신을 예방한 권 권한대행을 맞으며 “선배님”이라고 불렀다. 두 사람은 중앙대 법학과 동문으로 사법고시를 함께 준비한 사이다.
권 권한대행은 이 자리에서 “서로의 지나친 경쟁을 좀 자제하고 차분하게 민생과 안보를 위해 머리를 맞댄다면 이 혼란 정국을 잘 수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재해 감사원장, 박성재 법무부 장관 등 총 14건의 탄핵소추안이 지금 헌법재판소에 계류 중”이라며 “대통령 탄핵소추안까지 헌재가 언제 23건의 탄핵소추안을 다 처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야당이 탄핵소추를 남발해왔다는 불만을 내재한 언급으로 해석된다.
권 권한대행은 “작금의 국정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서라도 이전에 남발했던 정치 공세적인 성격이 강한 탄핵소추는 국회 차원에서 철회해서 헌재의 부담도 좀 덜어달라”며 “탄핵소추로 인해 국정이 마비 상태니까 그것도 풀어주시기를 부탁의 말씀을 드린다”고 요청했다.
그는 앞선 3차례 대통령 탄핵소추 사례를 들어 “대통령 중심제가 과연 우리의 현실과 잘 맞는지 이 부분에 대해서 좀 더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개헌 필요성을 거론했다.
권 권한대행은 “‘올 오어 낫싱’(All or Nothing), 전부 아니면 전무 게임인 대통령제를 좀 더 많은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고 상생과 협력을 할 수 있는 제도로의 변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서로 존재를 인정하고 적정하게 양보하고 타협해서 그야말로 일정한 합의에 이르게 하는 게 정치 본연의 역할”이라며 “현재는 좀 안타깝게도 정치가 아니라 전쟁이 돼버린 상황이다. 정치가 복원되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정이 매우 불안하다”며 “가장 중요한 건 역시 헌정 질서의 신속한 복귀”라고 강조했다.
최근 자신이 제안한 국정안정협의체와 관련해서는 “(권 권한대행이) 약간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계신 것 같다”고 짚었다.
이 대표는 “필요한 부분까지는 저희는 다 양보할 수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민주당과 국민의힘 원내교섭단체로서는 좀 실질적인 협의를 해야 된다”고 말했다. 그는 “당 대 당 토론이나 논의는 사실 잘 안되는 것 같은데 그런 부분에 대해 통로도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고 제안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