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한동훈 대표의 사퇴로 지휘 체계에 공백이 생긴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차기 비대위원장이 조기 대선을 지휘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인선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가 끝난 뒤 취재진을 만나 “어떤 것이 당의 위기 수습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일일지를 생각해본 뒤 수요일(18일)쯤 의총을 열어 의원들 의견을 듣기로 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거론된 인물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없다. 다만 어떤 조건과 평판, 능력을 갖춘 분이 와야 한다는 (원들의) 말씀이 있었다”고 말했다.
의총에서는 비대위원장을 원내 인물로 뽑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당 이해도가 높은 사람이 맡아야 어려움을 더 신속히 극복할 수 있다는 취지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뉴시스에 “(비대위원장 선임을) 원내에서 하자는 의견이 더 많았다. 다만 쇄신의 이미지를 국민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적임자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원마다) 각자 생각이 달랐다. (원내에서 선임될지는) 더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의총에 앞서 열린 4선 이상 중진 의원 회동 자리에서도 비대위 구성 문제가 논의됐다. 박대출 의원은 중진 의원 회동 후 비대위원장 인선이 어떻게 돼가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당내 인사라고만 말씀드리겠다. 비대위원장은 당의 안정과 화합, 쇄신을 위해 이 세 가지를 모두 이끌 수 있는 경험 많은 당내 인사가 적격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원내에서 비대위원장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은 5선인 권영세 의원과 나경원 의원, 김기현 의원이다. 6선인 주호영 국회부의장도 언급된다. 원외에서는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꼽힌다. 다만 비대위원장 선임 시 차기 대선 출마가 어려워 대권 주자로 분류되는 이들은 고사할 가능성이 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