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지난 14일 가결된 가운데 정권이 교체되면 한-일 관계가 얼어붙고 종국에는 한·미·일 협력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일본에서 나오고 있다.
일본 일간지 아사히신문은 16일 “윤 대통령이 정권 기반을 잃으면 동맹을 경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의 재등판까지 겹쳐 한-미-일 (동맹)이 크게 삐걱거리게 된다”라고 보도했다. 아사히는 “한·일 관계 개선은 융화책을 써온 윤 대통령의 일방적 양보에 의한 부분이 크다. 이를 비판해온 야당이 정권을 잡으면 한·일 관계가 다시 냉각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정권 교체 시 세 가지 위기 상황이 초래된다는 것이 아사히의 시각이다. 우선 정권 교체 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인 내년부터 이를 축하하는 분위기가 생기기 어려울 것으로 봤다. 트럼프가 내달 취임 시 한·일이 미국의 불합리한 요구에 함께 대응할 수 없게 되고 한·미·일 협력 체계가 위기 직면 시 이를 경계해왔던 북한과 중국, 러시아에 유리해질 수 없다는 관측도 내놨다.
아사히는 한·미·일 정상이 지난해 8월 모여 새로운 시대를 출범하자며 회의를 정례화하고 관계를 강화하자고 한 점을 소개하며 한·미·일 협력 체계가 붕괴하면 한·일 관계부터 고꾸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사히는 “현재 국제 정세와 안보 환경을 고려하면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은 변하지 않는다. 일본이 (한·미·일의) 협력을 유지하기 위해 맡을 역할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경제 일간지 니혼게이자이신문(니케이)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전날 기자 회견 중 “한반도 주변국의 협력 관계에도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발언에 주목했다. 니케이는 “일본이라는 말은 나오지 않았지만 (이 대표가) 주변국과 협조하겠다는 자세를 보였다”라면서 그가 차기 대선 출마를 의식해 국가 안보를 우려하는 보수와 중도 등 폭넓은 지지층 확보에 나섰다고 평가했다.
김진욱 기자 real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