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비상)계엄 선포 절차와 내용 모두 위험이고 부당했기 때문에 거부 지시를 했다”고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 당시를 회상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중앙협력본부 사무실에서 프랑스 르몽드지와 긴급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당시 비상계엄 선포를 (도청 외부에서) TV뉴스 속보로 접했다. ‘페이크 뉴스’(가짜뉴스)인 줄 알았다”면서 “그런데 행정안전부에서 ‘사람들을 출입 못하게끔 도청을 봉쇄하라’고 전화로 요청해왔다는 보고를 받고 즉시 거부하라고 지시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12·3 계엄선포는 절차나 내용이 모두 위헌이며 부당하기 때문에 거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그간의 계엄사례로 봤을 때 군이 도청을 접수하고 봉쇄를 하려 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무실을 지켜야겠다고 생각했다”며 “그래서 간부회의를 바로 소집하고 도청 안으로 들어갔다. 만약 군이 봉쇄에 들어갔다면 구금당했을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사례는 ‘쿠데타+선출된 권력’이라는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된 최악의 사례였다”고 지적하며 “윤 정부는 경제, 외교, 국방, 기후대응 모든 면에서 역주행해왔다. 불행스런 일이지만 한 번에 반전시킬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을 가져본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내용의 김 지사 인터뷰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 직후 정부의 도청 폐쇄 명령에 대해 다른 광역단체와 달리 김 지사가 단호하게 거부했다는 소식을 알게 된 르몽드지의 필립 메르메스 동북아 특파원의 요청으로 진행됐다고 15일 경기도는 설명했다.
김 지사는 한국기자협회,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조, 한국PD연합회 등 범언론 11개 단체가 주최한 ‘언론자유 말살 윤석열 탄핵 촉구 범언론인 결대회회’에 참석했다가 오후 2시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후 오후 4시에 윤대통령 탄핵안은 본회의 표결에 부쳐져 국회의원 전원 300명 표결, 찬성 204, 반대 85, 기권 3표, 무효 8표로 가결됐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