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는 후퇴 없다”…美 국민은 관세 정책 27%만 지지

입력 2024-12-16 09:1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기존 입장에서 물러설 생각을 하지 않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업들이 여러 통로로 트럼프 인수팀에 민원을 넣고 있지만 거의 효과가 없다는 설명이다.

WSJ는 “기업 경영진들은 트럼프가 중국, 캐나다, 멕시코 및 기타 국가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대해 약속한 가파른 관세에서 면제받기 위한 로비 방법을 두고 머리를 긁적이고 있다”며 “트럼프 팀은 기업 컨설턴트들에게 트럼프가 취임 뒤 관세를 자유롭게 사용하려는 계획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에 마약 반입을 막지 못할 경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선포한 상태다. 또 브릭스(BRICS) 국가들이 달러를 대체하는 기축 통화를 추진할 경우에는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다.

트럼프의 말대로 관세가 부과될 경우 해외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미국 기업들의 비용 상승은 불가피하다. 또 기업이 이렇게 상승한 비용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해 물가가 크게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우려에도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전혀 변동이 없을 것이라는 게 트럼프 측근들 사이에서 나오는 전언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출신의 한 로비스트는 트럼프의 관세 언급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를 설득할 만한 컨설턴트는 없다고 전했다.

WSJ는 트럼프가 그동안 자신의 관세 정책을 늦은 오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발표했는데 가장 가까운 참모들에게조차 미리 알리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가 관세와 관련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지명자 등과 논의하지만, 정작 관세정책을 소셜미디어에 전격적으로 발표할 때엔 거의 사전 통보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국민은 트럼프와 관세 정책에 부정적 평가가 많다는 여론조사가 나왔다. 미국 CNBC방송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관세 인상이 내년 정책에 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반면 관세 인상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은 42%였다. 관세는 트럼프의 여러 정책 중 2001년 1월 의사당 폭동 사태 관련자 사면(26%) 다음으로 인기가 없는 정책이었다. 가장 인기가 많은 정책은 국경 통제로 60%의 지지를 얻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