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과 관련해 ‘추·윤 갈등’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대통령을 제압하지 못했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의 책임을 거론했다.
추 의원은 15일 페이스북에 “탄핵이 가결된 순간, 저는 꼬박 4년의 시각들이 하나하나 깊이 고통으로 제 안에 각인되어 있었기에 속에서 맺힌 것들이 일시에 터져 나오는 느낌을 참느라 어쩔 줄 몰랐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4년 전 언론의 편견과 구박 속에서도 저를 믿고 감찰과 징계에 최선을 다했으나 정치 상황의 급변으로 법무부를 떠나게 되었던 정의로운 검사들, 윤석열로부터 보복 수사를 받거나 누명을 쓰고 괴롭힘을 당하거나 법무부를 떠난 차관과 부당한 징계를 받고 검찰을 떠났던 검사들에 대한 미안함도 겹쳤다”고 말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선 “이런 상상 못할 난동은 2016년 촛불혁명 승리 이후 하나도 제대로 바꾸지 못한 탓이었다”면서 “그 고통과 피해는 국민에게 전가됐고 견디다 못한 괴물의 폭주를 국민이 멈추게 했다. 결국 국민이 해냈다”고 언급했다.
추 의원은 또 “저는 (2020년에) 검찰총장 윤석열이 자신과 처족의 불법을 감추기 위해 감찰과 수사를 적극적으로 방해한 행위를 적발해 징계까지 했으나 결국 인사권자는 여론에 떠밀려 그를 제압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인사권자였던 문 전 대통령의 책임을 언급한 것이다.
이어 “나중에 그가 대선 후보에 뛰어들고 나서도 처와 처족의 비위가 드러나자 거꾸로 보도한 기자와 고발한 정치인을 손준성 검사를 통해 김웅 등에게 고발하도록 시킨 이른바 ‘고발 사주’ 사건에서도 윤석열이 도로 괴문서라고 큰소리치자 언론은 그를 신뢰하고 편들었다”고 덧붙였다.
추 의원은 문재인정부 법무부 장관 재직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대통령과 수사지휘권, 직무배제 등의 문제로 갈등을 빚었다. 문 전 대통령은 2021년 1월 신년 기자회견에서 추·윤 갈등 국면에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때로 갈등이 생긴다 해도 그것이 민주주의 국가에서 특별한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민주주의가 건강하게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