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가 한미 동맹에 미친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내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새 행정부 출범에 대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15일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주요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협력 관계를 재점검하고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조기에 확보하도록 노력하겠다”며 “무엇보다도 굳건한 한미동맹과 한일 우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한미일 3국 협력의 모멘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트럼프 당선인 취임 전후에 방미 가능성에 대해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과 통화는 했지만 대면해서 논의하고 발신할 메시지도 있다고 생각해 미국 측과 협의해 (방미를) 검토해 나갈 생각”이라고 전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로 정상 외교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오늘 아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덕수) 권한대행 간의 통화로 불식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또 “중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긴밀한 소통을 유지해 나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등 기존에 예정된 양자, 다자 일정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7개국(G7) 플러스 참여에 관해서는 “일관되게 추진할 생각”이라면서도 “이번 사태로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가 손상된 측면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회복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장관직 사임 여부에 대해선 “지금도 자리를 계속 물러나는데 조금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제가 해야 할 책무가 있는 것이고 책무를 포기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