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이 14일 가결된 직후부터 여권에서는 한동훈 대표 등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을 따지는 목소리가 분출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탄핵안 가결 직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야당의 폭압적인 의회 운영에서 비롯된 비상계엄 사태를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당 지도부는 총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홍 시장은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2중대를 자처한 한동훈(대표)과 레밍들의 반란에 참담함을 금할 길이 없다”며 “(탄핵에 찬성한) 지역구 의원들은 제명하라”고 주장했다.
반한(반한동훈) 성향의 국민의힘 책임당원협의회는 성명서를 내고 한 대표를 향해 “탄핵가결과 보수 궤멸의 책임을 지고 당대표직에서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당은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적극 뒷받침하며 그 결과에 대해 대통령과 함께 국민에게 책임을 진다’는 국민의힘 당헌 8조1항을 언급하며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는 건 국정을 제대로 뒷받침 못한 당에도 공동책임이 있으며, 가장 큰 책임은 당의 리더인 당대표에게 있다”고도 주장했다.
반성과 자책의 목소리도 이어졌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탄핵을 찬성하면 자기만은 면죄부를 받을 것이라 착각하는 몇몇 의원들이 안타깝다”면서도 “보수가 단일대오로 나가지 못하고 오합지졸로 전락한 데 대해 저 자신부터 돌아보겠다”고 페이스북에 적었다.
당대표를 지낸 김기현 의원도 “또다시 대한민국의 불행이 시작됐다”며 “깊은 상처를 입은 우리 당을 다시 추슬러 건강한 보수정당으로 재정비하고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정당으로 부활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