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교계 성명 발표와 대안 모색이 이어졌다. 연합기관을 비롯한 단체들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성명을 비롯해 국회의장 면담 등의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총무 김종생 목사)는 회원 교단장 연대 목회 서신 발표와 국회의장 면담을 추진한다. NCCK는 13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임시실행위원회를 열고 비상계엄 시국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농성 중 실행위에 참석한 김상근 NCCK시국회의 상임대표(전 민주평통 수석부의장)는 “한국교회가 윤 대통령 친위 세력으로 취급받고 있다. 위중한 이 시대에 한국교회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기도해야 한다”면서 “교단장들이 현 시국에 대한 우려와 하나님의 공의를 바로 세우는 일에 함께 목회 서신을 내고 국회의장, 또 각 당 대표를 만나 의견을 전달하자”고 제안했다.
회원 교단장들은 목회 서신 발송이라는 기본 틀에는 합의하고 그리스도인의 회개, 정치권 자성 등의 내용을 포함하기로 했다. 이날 9개 회원 교단 중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한국기독교장로회, 구세군, 대한성공회, 기독교대한복음교회, 한국정교회 등 6개 교단장이 참여했다.
실행위 명의의 성명서도 발표됐다. 성명에는 “민주 헌정질서를 회복하는 길은 계엄 주동자들에게 엄정한 책임을 묻는 것에서 시작된다”며 “대통령 탄핵은 가장 먼저 서둘러야 할 첫 번째 헌법적 절차이며 그 동조자들에게 책임을 묻는 사법적 절차가 동반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CCK는 나라와 민족을 위한 기도회도 열 예정이다.
기독교 가톨릭 불교 원불교 등 4대 종단도 윤 대통령 탄핵을 촉구했다. 4대 종단은 이날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국민과 헌법 수호의 직무를 내팽개치고 자신에게 자발적인 맹종을 하는 이들만을 국민으로 여기며 다른 모든 국민을 반국가세력·종북세력으로 몰고 갔다”고 비판했다.
이어 “시민들과 청년들에게서 희망의 빛을 보고 삶의 의미를 세상에 알리는 것이 이 땅의 모든 종교인이 해야 할 일”이라면서 “내란이 가져온 어두움은 이제 곧 사라지고 이미 여명이 시작, 다시 민주주의가 찬란하게 빛나는 위대한 대한민국이 될 것을 믿는다”고 강조했다.
신학대 교수들의 성명도 이어졌다. 장로회신학대 교수평의회 교수 65명은 “역사의 주권자 삼위일체 하나님을 믿는 우리는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탄핵과 직무 정지를 요구하며 관련자들에 대한 법적 조치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정의롭고 평화로운 한국사회를 위해 책임을 다해야 한다”면서 “신학공동체인 우리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을 회개하며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다시 세우는 일에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함께할 것을 호소한다”고 말했다.
글·사진=박용미 기자 m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