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조지호 비화폰’ 확보…삼청동 안전가옥 강제수사 검토

입력 2024-12-13 13:12
조지호 경찰청장이 지난 9일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하는 경찰이 비상계엄 당일 조지호 경찰청장이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할 때 사용하던 비화폰을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3시간 전 계엄 작전 지시를 내린 서울 종로구 삼청동 안전가옥에 대한 강제 수사도 검토중이라고 했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13일 서울 서대문구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조 청장이 윤 대통령과 6차례 통화할 때 비화폰을 쓴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비화폰은 도감청·통화녹음 방지 프로그램이 깔린 보안 휴대전화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계엄을 선포한 뒤 조 청장에게 6차례 전화를 걸어 주요 국회의원 등을 체포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경찰은 또한 조 청장이 계엄발표 3시간 전 ‘안가 회동’에서 윤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계엄문건을 찢었다고 진술한 부분을 증거인멸 행위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계엄 문건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계엄 사전모의나 지시를 받은 게 있는지 조사하는 상황에서 당사자들은 A4용지 안에 무슨 내용이 담겼는지 잘 기억이 안 난다고 진술했다. 문건이 없으니 증거인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안전가옥에 윤 대통령, 조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4명이 모였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압수수색 가능성에 대해 “필요한 부분에 대해 확인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경찰은 조 청장이 당일 삼청동 안가로 이동한 동선을 파악하기 위해 주변 CCTV 영상 분석과 운전기사, 부속실 직원들을 상대로 참고인 조사를 할 계획이다.

현재 비상계엄 선포 전 국무회의에 참석한 국무위원 중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포함한 4명이 출석해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았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아직 조사 일정을 조율하는 단계이고, 검찰에 구속된 김 전 장관에 대해서도 경찰은 대면조사를 위해 검찰에 협조 요청을 진행하고 있다.

경찰은 지난 11일 한차례 압수수색이 있었으나 진입이 막힌 대통령실에 대한 강제수사도 추가로 검토하는 것으로 밝혔다. 특수단 관계자는 “당시 국무회의 과정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영장을 신청했고 자료를 일부 받긴 했다”며 “저희 입장에서는 부족한 상황이라 현재 영장으로 재집행 가능한지, 추가로 영장을 신청해야 하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김승연 기자 ki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