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은 야당에 대한 경고였다는 취지의 대국민담화를 내놨다. 비상계엄 선포는 ‘내란행위’가 아닌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고 강조하며 탄핵 움직임에 대항해 끝까지 싸우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담화 전반에서 그는 ‘칼춤’ ‘범죄자 집단’ 등 과격한 단어를 사용하며 격앙된 모습을 보였다.
윤 대통령은 12일 오전 대국민 담화에서 비상계엄 발동의 배경을 설명하며 더불어민주당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탓을 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그는 담화문 첫 문단부터 “지금 야당은 비상계엄 선포가 내란죄에 해당한다며 광란의 칼춤을 추고 있다”고 시작하며 격앙된 표현을 사용했다.
그러면서 계엄은 이들에 대한 ‘경고용’이었다고도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현재의 망국적 국정 마비 상황을 사회 교란으로 인한 행정·사법의 국가 기능 붕괴 상태로 판단해 계엄령을 발동하되 그 목적은 국민들에게 거대 야당의 반국가적 패악을 알려 이를 멈추도록 경고하는 것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과거와 같은 계엄을 하려면 수만 명의 병력이 필요하고, 광범위한 사전 논의와 준비가 필요하지만 저는 국방장관에게 계엄령 발령 담화 방송으로 국민들께 알린 이후에 병력을 이동시키라고 지시했다”며 “만일 국회 기능을 마비시키려 했다면 평일이 아닌 주말을 기해서 계엄을 발동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대로’ 계엄을 내리려고 했다면 국회 건물에 대한 단전, 단수 조치부터 취했을 것이고, 방송 송출도 제한했을 것이라는 취지의 설명도 덧붙였다.
탄핵 움직임과 관련해 윤 대통령은 “지금껏 국정 마비와 국헌 문란을 주도한 세력과 범죄자 집단이 국정을 장악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협하는 일만큼은 어떤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한다”며 “저는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 여러분에 대한 저의 뜨거운 충정만큼은 믿어달라”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