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이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허리 굽혀 사죄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 채 사과를 거부했다.
한 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은 11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위헌적 비상계엄 선포 내란 행위 관련 긴급현안질문’에 참석했다.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 총리를 향해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했지만 쿠데타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한 총리는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고 국무위원을 소집해서 대통령의 의지를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궁극적으로 막지 못해 송구스럽고 죄송하게 느낀다. 많은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서 의원이 “이제와서 그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비겁하다. 국민 앞에 허리를 굽혀 사죄하라”고 요구하자 한 총리는 “사죄인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재차 사과 요구를 받자 한 총리는 “필요하면 그렇게 하겠다”며 이내 단상 옆으로 이동해 허리를 숙였다.
서 의원이 국무위원들 역시 전부 일어나서 사죄하라고 요구하자 한 총리는 “국무총리가 대표로 한 것으로 양해해 달라”며 또 한번 고개를 숙였다. 그러자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자리에서 일어나 허리를 굽혀 사과했다. 이 과정에서 김문수 장관은 홀로 자리에 앉은 채 국무위원들의 사과를 지켜봤다.
앞서 김 장관은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정도의 어려움에 처했다”며 비상계엄의 위법·위헌 여부에 대해선 “판단해본 적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윤 대통령의 탄핵이 “국민들한테 무슨 유익함이 있겠냐”며 반대 입장을 내기도 했다.
정신영 기자 spiri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