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에 출석해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허리 숙여 사과했다.
한 총리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계엄 관련 긴급 현안질의에서 “12월 3일 저녁에 대통령실 도착 이후에 (계엄 선포 계획을) 인지했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고, 대통령의 그런 의지를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궁극적으로 막지 못했다”며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하고, 또 죄송하게 생각하고, 또 많은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고 사과했다.
한 총리는 3일 국무회의에서 계엄에 찬성한 국무위원이 있었느냐는 질의에 “전원 다 반대하고 걱정했다”고 답했다. 반대 사유를 묻자 “대한민국 경제, 그리고 신인도의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이고, 국민들의 수용성도 없을 것이라고 말씀드렸다”며 “국무회의 자체가 많은 절차적·실체적 흠결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는 “국무회의를 개최하려고 한 것은 계엄의 절차적 흠결을 보호하려는 것이 아니었다”며 “국무회의를 명분으로 국무위원들이 모여 좀 더 많은 국무위원이 반대하고, 의견과 걱정을 제시함으로써 계엄을 막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한 총리는 이날 국회 출석 직전 ‘국민께 드리는 말씀’ 메시지를 통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과정에서 일관되게 반대했으나 끝내 막지 못한 것을 깊이 자책하고 있다”고 밝혔다. 계엄 사태 이후 자신의 처신에 대한 입장을 처음으로 밝힌 것이다.
그러면서 “저를 포함한 내각은 이 목표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며 “한평생 저를 믿고 많은 일을 맡겨주신 국민을 위해 마지막 순간까지 본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