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찬성하는 여당 의원이 ‘10명 전후’라고 밝혔다. 같은 당의 한동훈 대표가 구상하는 ‘질서 있는 퇴진’ 로드맵에는 “대통령의 권한을 실질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을 지 의문”이라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김 의원은 11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탄핵에 찬성하는 여당 의원들에 대해 “계속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다”며 “10명 전후에서 늘었다 줄었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탄핵에 반대하는 분들도 계속해서 설득하고 있고, 특히나 2월이나 3월 조기 하야 주장도 있었지 않나. 사실 여당 의원들 입장에서는 탄핵에 반대할 명분이 있으면 유혹이 된다”며 “그러다 보니 그런 논리로 (찬성에서) 빠지는 분들도 사실 있다. 그래서 10명 전후에서 늘었다 줄었다 하고 있는 게 아닌가라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진행자가 “10명 전후의 의원들은 당론으로 표결 불참을 결정해도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건지, 아니면 표결 참여를 당이 허락하면 들어가서 찬성표를 던지겠다라는 건지”를 묻자 김 의원은 “후자에 가깝다”라고 답했다.
이 때문에 김 의원은 12일에 선출되는 국민의힘 새 원내대표 선출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새 원내대표가 표결 불참 결정하면 그 (탄핵 찬성 의원) 숫자는 줄어들 수도 있지 않냐”라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라며 “당원 동지들과 국민들께서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바른 집행부가 들어올 수 있도록 목소리를 내주시면 원내대표 선출에 당연히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김 의원은 당 내부에서 나오는 ‘질서 있는 조기 퇴진’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의 권한을 실질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을지 의문인데다 자칫 국가가 겪고 있는 불안정성과 피해를 더 키울 수 있다”며 반대했다.
그는 “대통령이 불안정한 상황인데 그 사이에 국군통수권을 비롯해 법적인 권한 자체를 박탈할 수가 없지 않냐”며 “법적으로 대통령의 직무를 정지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탄핵이다. 빨리 탄핵 절차가 마무리되거나 즉시 하야하는 게 국가 안정성에 더 필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일 국회에서 이뤄진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서 같은 당 안철수, 김예지 의원과 함께 ‘표결 불참’ 당론을 거부하고 참석했다. 김 의원은 당시 탄핵 반대표를 던졌지만 오는 14일 2차 표결에서는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공개 선언한 바 있다.
탄핵소추안의 의결정족수인 200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당인 국민의힘에서 최소 8명의 이탈표가 나와야 한다.
박선영 기자 pom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