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HD현대오일뱅크·한화토탈 ‘폐비닐 자원화’ MOU

입력 2024-12-11 11:00

그동안 소각 처리되던 폐비닐이 비행기 연료 등 고품질 자원으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충남도는 11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4개 시와 순환경제사회 전환 촉진을 위한 폐비닐 고품질 자원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HD현대오일뱅크와 한화토탈에너지스는 열분해유 활용 생산 기반 구축과 재활용 업체에 대한 기술 지원 등 재활용 활성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천안·아산·서산·당진 등 4개 시가 가정에서 분리 배출한 폐비닐을 수거한 뒤 재활용 업체에 보내 열분해유를 생산하면, 이를 사용해 플라스틱 원료인 납사와 항공유 등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열분해는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폐플라스틱(폐비닐)을 간접 가열해 원료(나프타)나 연료(등유, 경유) 등 열분해유와 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소각에 비해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 배출이 적을 것으로 알려져 탄소중립 실현을 앞당길 것으로 평가된다.

천안 등 4개 시가 지난 1∼8월 생활자원회수센터를 통해 수거한 폐비닐은 2826t, 이 가운데 2540t은 고형폐기물연료(SRF)로 만들어져 시멘트 공장에서 소각된 것으로 집계됐다.

도는 폐비닐 분리 배출·수거와 재활용 체계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을 한다. 천안 등 4개 시는 폐비닐 분리 배출을 안내하고, 분리 배출·수거, 선별에 대한 비용 지원 등 재활용 활성화에 협력한다.

김태흠 지사는 “플라스틱을 자원으로써 활용할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그 첫 걸음이 폐비닐을 기름으로 만드는 열분해 기술”이라며 “폐비닐이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닌 귀중한 자원으로 취급되도록 충남은 분리 배출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가동시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도는 충남연구원과 함께 플라스틱 순환경제 포럼을 개최해 도시형, 농촌형, 해양형으로 구분한 시·군 맞춤형 플라스틱 순환경제 방향을 설정했다. 플라스틱 순환경제는 재활용 용이성과 자원 순환성을 고려해 제품이나 포장재를 만들고, 수거 후 다시 재생원료로 생산해 공정에 투입하는 산업 구조를 말한다.

홍성=김성준 기자 ks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