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원·달러 환율 주간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가 전날보다 10.1원 내렸지만 환율을 둘러싼 시장 불안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부는 정국 불안 장기화에 대비해 외화 유동성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26.9원으로 주간 장을 마감했다. 정부가 환율 변동성 확대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뜻을 밝혀 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개장 전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에서 “과도한 시장 변동성에는 시장 심리의 반전을 거둘 수 있을 만큼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재정·통화당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은행의 외화조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은행 선물환 포지션 한도 확대를 검토 중이다. 선물환 포지션은 선물외화자산에서 선물외화부채를 뺀 값으로 정부가 한도를 규제한다. 현재 외국환거래규정상 국내 은행은 자기자본 대비 50%, 외국계 은행 국내지점은 250%까지만 가능한데, 이를 확대하면 은행의 외화자금 공급 여력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최 부총리는 전날 F4회의에서 “외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구조적 외환수급 개선방안도 조속히 관계기관 협의를 마무리해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당국은 외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완화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은행들은 30일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외화부채의 80%에 해당하는 유동성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한다.
당국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외환 유·출입 변동성 완화에 초점을 뒀다. 그런데 외화유출은 자유롭게 이뤄지는 상황에서 외화유입은 대외 건전성 우려로 많이 들어오지 못했다”며 “외화 유입이 실물 경기나 시장에 도움이 된다면 유입 관련된 제도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민간에서는 금융지주들이 컨퍼런스 콜, 대면 미팅, 서한 등 방식을 통해 해외 투자자들과 소통 접점을 늘리며 시장 안정에 나서고 있다.
KB금융은 주요 해외 투자자에게 서한을 발송하고 지난 10월 발표한 밸류업 방안을 변함없이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24시간 상시 대응 체제를 운영 중인 하나금융도 해외 지점을 중심으로 현지 금융 당국과 대면 미팅 등을 통해 투자자 우려와 혼선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한금융과 우리금융도 회장 등 경영진이 해외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