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비상한 시기에 특단의 대응을 하겠다”며 “올해보다 일자리 예산을 1030억원 증액해, 41만개 일자리를 적시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민생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오 시장은 10일 시청에서 주재한 비상경제회의에서 “최근 정치적 혼란 상황으로 우리 경제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시민들의 불안감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중앙회,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소상공인연합회 등 경제 단체 관계자 13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우선 고용 한파에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 예산을 조기 집행하겠다”며 일자리 예산 증액 계획을 밝혔다. 이어 “서울의 경제, 일자리, 노동 환경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고용 정책으로 내년도 계획을 조기에 수립해 경제 안정 대책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또 경영 위기에 빠진 소상공인을 위해 “장기·저리 특별 자금을 신설하고, 최대 6개월까지 상환 유예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전통시장도 다시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온라인 특별 할인 판매전과 함께 시설물 점검, 보수를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오 시장은 해외 투자자들 사이에서 한국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서울의 경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투자 기회를 알리고, 금융업 애로사항도 지속해서 파악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회의 뒤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현장에서 뛰는 경제인들의 목소리를 들었다”며 “위기 극복의 골든타임인 지금 선제적이고 과감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 행정과 현장의 소통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현장이 말하는 시급한 과제들”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특히 정치의 경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절박한 말씀이 가슴 깊이 들어왔다”며 “이번 주는 매일 비상경제회의를 열어 현장의 해법을 모아가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